2025/05/20 3

정명론(正名論)과 사회적 역할 교육

인간 사회는 구성원 각자가 자신에게 부여된 역할을 인식하고 그에 걸맞은 언행을 실천할 때 비로소 조화와 질서를 유지할 수 있다. 동양 철학에서 이러한 원리를 가장 뚜렷하게 설명하는 개념이 바로 정명론(正名論)이다. 정명론은 고대 유가 사상가 공자가 강조한 핵심 윤리 중 하나로, 인간 사회의 질서 유지를 위해 각자의 '이름(名)'에 부합하는 역할과 책임을 충실히 수행해야 함을 의미한다. 여기서 '이름'은 단지 호칭이나 직책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그에 따른 도덕적 책임과 실천을 내포한다. 아버지는 아버지답고, 군주는 군주다워야 하며, 자식은 자식답게 행동해야 한다는 공자의 가르침은 단순한 계급적 질서가 아니라 사회적 신뢰와 도덕적 정당성을 유지하는 핵심 원리로 작용한다. 오늘날 교육은 지식 전달에 집중하는..

교육 2025.05.20

경전을 통한 인성 교육

현대 사회는 과학기술의 급속한 발전과 정보의 과잉 속에서 인간의 내면적 성장보다 외적 성취에 집중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흐름은 교육 현장에서도 마찬가지로 나타나고 있으며, 학생들은 지식의 양적 확대에 몰두하면서도 도덕성과 인성의 본질적 함양에는 상대적으로 소홀한 태도를 보이는 경우가 많다. 이에 따라 교육계는 인성 교육의 중요성을 다시금 강조하고 있으며, 단순한 행동 규범이나 생활지도 수준을 넘어 인간 내면을 깊이 있게 성찰하고 도덕적 판단력을 기르는 방향으로 나아갈 필요가 있다. 이러한 인성 교육의 토대를 마련하는 데 있어 전통 경전은 탁월한 교육 자원이 될 수 있다. 경전은 단지 과거의 종교적 혹은 철학적 유산이 아니라, 시대를 초월하여 인간의 본성과 삶의 방향을 성찰하게 하는 지혜의 보고..

교육 2025.05.20

고전 학습(논어, 맹자)의 교육적 가치

인간은 자신을 성찰하고 타인을 이해하며 공동체 속에서 조화롭게 살아가기 위해 다양한 지혜를 필요로 한다. 이러한 지혜는 단지 현대의 과학 기술이나 실용 지식에서만 오는 것이 아니라, 오랜 시간 동안 축적된 고전 속 사상에서도 깊이 있게 발견된다. 유교 전통에서 핵심 고전으로 꼽히는 『논어』와 『맹자』는 단순한 옛날 이야기나 윤리 교훈집이 아니다. 이 두 문헌은 인간의 본성과 교육, 사회 질서, 리더십, 자기 수양 등 인간 삶의 전반에 걸친 통찰을 담고 있으며, 시대를 초월한 교육적 가치를 지닌다. 공자와 맹자가 각각 남긴 가르침은 인간이 어떻게 배워야 하며, 왜 배워야 하는지를 철학적으로 설명함으로써 교육의 본질을 꿰뚫는다. 고전 학습은 단지 과거를 회상하는 활동이 아니라, 현재와 미래의 삶을 정비하고 ..

교육 2025.05.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