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아시아 유교 문화권에서 사서삼경은 단순한 고전 문헌을 넘어 한 시대의 교육 이념과 지적 기반을 형성한 핵심 경전으로 기능하였다. 조선 시대의 교육 체계는 사서삼경을 중심으로 조직되었으며, 유교적 인간상과 도덕적 기준을 내면화시키는 핵심 수단으로 활용되었다. 유교 사회에서 국가는 백성을 교화하기 위한 철학적 도구로 사서삼경을 적극 채택하였으며, 교육자는 이를 통해 수기치인(修己治人)의 이상을 학생에게 주입하였다. 사서는 『논어』, 『맹자』, 『대학』, 『중용』 네 권의 문헌을 의미하고, 삼경은 『시경』, 『서경』, 『역경』을 말한다. 이 경전들은 단지 학문적 텍스트가 아니라, 인간의 도리, 통치의 원리, 우주의 이치를 설명하는 철학 체계로 자리 잡았다. 고려 후기부터 조선 전기에 이르기까지 사서삼경은 과..